최근 지하철마다 자살방지센터, 정신건강센터 광고가 크게 뜨는 걸 보면서 자살과 우울증을 염려하는 국가의 심산은 대체 뭘까 궁금했다. 표면만 보면 자살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한다는 명목이고, 그 심층을 들여다봐도 뭐 그런 통치술을 발휘하여 인구 관리하겠다는 거겠지 하고 말 문제인데. 왜 하필 지금 이 시점에 자살과 우울증을 방지하겠다고 또 다른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는건지가 궁금했다.
각 대학 교수와 학생들의 자살이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(주로 이슈화되고 있는 건 KAIST지만 그 대학만의 일이 아니니 그렇게 구체화 시킬 수만은 없다) '왜 죽으면 안되나요?'라는 질문이 발칙해보이는 건 어쩔 수 없다. 그런데, 앞선 죽음들과 함께 이 질문이 던져져야만 이 죽음들이 '사건'으로 축소되지 않을 수 있지 않을까?
방사능 관리에 소홀하기, 보다는, 아예 관심도 없는 정부의 태도를 보면, 이건 분명 자본과 노동의 문제일 테다. 노동'인력'들은 그 노동으로 인해 죽기 직전까지만, 그래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로만 괴로워야 하니까. 그렇다면, 거대해지고 있는 '정신건강' 사업은 노동인구들을 어디까지 내모는 게 죽기 직전까지의 정도일까 하는 궁금증으로 국가가 운영하고 있는 실험실 같은 게 아닐까.
과거와는 다른 의미에서 죽음의 굿판이 주요한 운동 방식으로 대두되는건가 싶은 불안감이 언뜻 스쳤다. 마음의 병과 죽음을 관리할 '필요'가 없는 통치 방식은 대체 저기 너머너머 어디에 있단 말인가. 아무튼 이 '산업', 연구해 볼 일일세. 상반기 연구목표! (또 일벌렸어T_T)
Sunday, 10 April 2011
Subscribe to:
Post Comments (Atom)
No comments:
Post a Comment